세월호 참사 직후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은 세월호 기부금 중 일부가 ‘학교 운영비’로 악용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박주민 의원에 따르면 단원고는 지난 2014년 4월부터 세월호 참사비로 모은 성금 일부를 탁구부 훈련 경비, 운동장 배수로 정비 등의 용도로 약 9,000만 원을 사용했다.
특히 이 중 약 100만 원의 돈을 탁구부 코치의 자동차 보험료로 사용돼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당초 단원고의 학교발전기금 잔액은 약 40만 원 이었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한 달에만 11억 원이 넘는 돈이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들이 세월호 사고 관련 지출 금액은 약 8,700만 원에 그쳤다. 논란이 계속됨에 따라 학생들을 향한 장학금으로 5억 원, 세월호 피해기금에 10억 원을 사용하기는 했지만, 아직도 4억 원 이상의 잔액이 남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도대체 이런 혼란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단원고는 학교발전기금으로 기부금을 편입시켜 일반기금과 혼용해 사용한 것이 문제가 된 것이다.
즉, 학교가 기부금품을 모금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성금 모금 등록 절차를 거치거나 외부 기관에 위탁하는 등의 방식을 고려했어야 한다.
사실상 단원고등학교 입장에서도 이례적인 성금 모금이 이루어지면서 학교발전기금과 혼용된 것으로 해석할 수는 있으나 기탁자들의 성의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투명하고 합법적인 운용’이 꼭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시민들의 기부금이 ‘악용’되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해 체계적인 통계분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단순 단원고등학교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얼마 전 가정형편이 좋지 않은 한 가정에서 심장병을 안고 태어난 갓난아기의 가슴 아픈 사연이 전파를 탔다.
방송이 나간 이후 전국 각지에서는 성금이 모여졌지만, 후원금을 전달하기 위해 ‘통역’을 담당했던 직원의 악용으로 기부금 전액이 부부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기부금’ 사용을 투명하게 밝히는 합법적인 운용은 투명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온라인 이슈팀 <제보 및 보도자료 editor@postshare.co.kr / 저작권자(c) 포스트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