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장의사들은 한국의 장의사들보다 더 힘겹게 업무를 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장의사는 장례 의식을 진행하는 것 뿐 아니라 시신을 닦고 관리하며 경황이 없는 고인의 가족들을 대신해 필요한 절차를 수행하는 꼭 필요한 직업이다.
외국의 장의사들은 ‘Funeral Director’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사람이 죽고난 후 해야하는 다양한 일들을 수행한다. 외국과 우리나라의 장의사들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성격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외국의 장의사들이 왜 우리나라의 장의사들보다 힘든걸까? 그 이유는 ‘시체의 무게’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비해 유럽, 미국에는 비만인들이 많다. 따라서 시체의 무게도 무거워질 수 밖에 없고 외국의 장의사들은 시체를 옮기느라 애를 먹는다.
영국 매체 데일리스타에 따르면 실제로 영국의 장의사들은 ‘비만 시체’ 운반에 고생을 하고 있으며 사고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한 장의사는 관을 내려놓다가 등을 삐어 일주일간 일어나지도 못했고, 한 장의사는 비만 시체를 옮기다 발을 헛디뎌 다리가 부러지기도 했다.
때문에 최근 영국에서는 시체를 옮기는데 ‘크레인’을 동원하기도 한다. 영국 서머싯주에서 세상을 떠난 존 제프리의 시체는 무려 ‘330kg’이었고 그 시체가 담긴 관을 들 수 없어 영국 장의사들은 크레인을 동원해 시체를 운반했다고 전했다.
온라인 이슈팀 <제보 및 보도자료 editor@postshare.co.kr / 저작권자(c) 포스트쉐어>